프로젝트를 대하는 자세에 대하여

그건 내 일 아니야, 나는 개발자니까 개발만 하면 돼

남다름

그동안 만나본 수많은 디자이너들 중에 가장 의외였다. 서비스 서비스 구축 당시의 멤버도 아니었고 PM도 아닌 PD가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고 서비스 E2E QA를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디자인 업무 외적으로 커버하고 있는 역할이 커 보였다. 내가 만났던 디자이너의 느낌과 달랐다.

image

첫모습

처음 그 디자이너를 봤을 때 원래 PM을 하던 사람인지 아니면 QA를 했었는지 생각했다. 그 만큼 디자인 영역 외 다른 부분에도 신경을 많이 쓰는 것 같아 보였다. 생각해보면 디자이너든 개발자든 PM이든 QA건 일하는 작업자 모두가 지니고 있어야 할 덕목인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만들고 있는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임한다면 운영 중인 서비스의 정책이나 프로세스는 굳이 알고 싶지 않아도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습득하기 마련이다.

의외

며칠 전 그 디자이너와 이야기를 나누던 도중 이전 직장에서 본인은 PD임에도 불구하고 PM 역할을 너무 많이 하는 바람에 그 부분이 싫어서 이직했다고 했다.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현직장에서도 PM역할을 많이 한다는 것이었다. 물론 PD와 PM의 역할은 확실히 분리되어야 맞다. 그건 팀 차원에서 보호해 주지 못했거나 본인 스스로 역할 관리에 미흡한 탓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본인의 업무 외 역할이 주어졌을 때 그 일을 해낼 수 있는 것 또한 능력이고 이 부분은 조직 차원에서 확실하게 인정해 주어야 한다.

보통

많은 사람들은 그건 내 역할 아니다. 그건 나는 모른다로. 흔히 일을 잘라내거나 쳐낸다.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그런 사람이 다행히 소수라면 서비스에 영향도 그다지 없을 것이고 그런 멤버가 있는 듯 없는 듯 프로젝트는 굴러갈 것이다. 하지만 소수가 아닌 프로젝트 구성원 중 상다수가 내 일, 남의 일 따져가며 서비스 프로세스는 PM만 알고 있으면 된다며, QA는 QA팀에서만 처리하면 끝이다라고 생각한 그 서비서는 이미 죽은 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예전에는 개발자들이 일부러 코드를 어렵게 베베 꼬아놔서 자신의 코드를 볼 수 없게 하는 게 능력이라고 생각하던 시절도 있었고 동료들끼리 지식을 공유하는 건 기부천사들이나 하는 행위였던 시절 또한 있었다. 서비스 프로세스는 개뿔. 나는 개발 자니까 개발만 한다. 반대로 나는 디자이너니까 코드는 모른다. 그런 시절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결론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다. 공유하고 나누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하는 자세가 바람직하고 건강한 정신과 삶을 지탱하는 자세일 것이다. 우리가 건강하게 일을 하고 우리가 하는 일이 가치가 있으려면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대하는 자세부터 올바르게 하는 건 우리가 ‘일’을 함에 있어서 기본으로 지녀야 할 덕목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